본문 바로가기

교육/한국 역사37

잃어버린 북쪽의 강자 해동성국 발해를 만나다 혹시 '해동성국'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바다 동쪽에 있는 번성한 나라'라는 뜻을 가진 이 웅장한 이름은 바로 우리 역사 속, 고구려의 기상을 이어받은 강대국 발해를 가리킵니다. 발해는 고구려가 멸망한 후 그 옛 땅에 세워진 나라로, 한때는 당나라마저 함부로 대하지 못했던 동북아시아의 강자였죠. 오늘은 잃어버린 우리의 북쪽 역사, 해동성국 발해의 이야기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1. 발해, 고구려의 후예임을 선언하다1) 건국 배경: 고구려의 부활을 꿈꾸다 발해는 668년 고구려 멸망 후, 멸망의 아픔을 겪은 고구려 유민들이 당나라의 지배에 저항하며 세운 나라입니다. 당시 당나라는 고구려 유민들을 각지로 강제 이주시켰는데, 그중 일부가 영주(營州) 지역에 모여 반발했습니다. 이때 고구려 장수.. 2025. 8. 11.
정몽주 출생 성장 업적 죽음 하여가 단심가 유적 문화재 “이 몸이 죽고 죽어, 일백 번 고쳐 죽어도… 임향한 일편단심이야 가실 줄이 있으랴.” 정몽주의 애달픈 시조 는 고려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던 그 극적인 순간, 한 명의 충신이 자신의 신념과 절개를 온몸으로 드러낸 사자후였습니다. 역사가 흐르는 동안 수많은 영웅과 충신들이 있었으나, 정몽주처럼 ‘충절’의 상징으로 길이 남은 예는 드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의 삶과 업적, 사상, 그리고 오늘 우리에게 남긴 의미를 더욱 깊고 자세하게 살펴봅니다.1. 출생과 성장 – 고려 최고의 수재로 자라다 정몽주는 1337년(충숙왕 복위 6년) 경기도 여주에서 태어났습니다. 본관은 경주, 자는 달가, 호는 포은(圃隱)입니다. 그는 신라 경순왕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정운경(鄭云敬)이었습니다. 고려 중기 이후 사회가 혼.. 2025. 5. 16.
권문세족의 마지막 권신 이인임(李仁任)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고려 말 격변기의 정치 중심에 섰던 ‘이인임(李仁任)’에 관해 깊이 있게 알아보려 합니다. 고려 말의 역사는 조선으로 넘어가는 다리 역할을 했고, 그 중심에는 이인임 같은 권문세족이 있었습니다. 이인임은 한때 고려의 최고 실력자였으나 최후는 쓸쓸했습니다. 그의 생애와 역사적 의미를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이인임의 출생과 가계이인임은 1329년(충숙왕 16년) 고려의 대표적 권문세족 가문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집안은 몇 대에 걸쳐 중앙정계에서 두각을 나타낸 명문입니다. 부친은 이전(李峴), 어머니도 명문가 출신이었습니다. 이로써 자연스레 어린 시절부터 좋은 교육을 받고, 20세 무렵 문과에 급제해 조정에 입문했습니다.2. 고려 말기의 시대적 배경이인임이 살던 시대는 고려 말로, .. 2025. 5. 14.
불멸의 영웅 이순신 장군의 모든 것 안녕하세요. 오늘은 이순신 장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이순신의 탄생과 가정환경이순신은 1545년(인종 1년) 4월 28일, 한양 건천동(현재 서울특별시 중구)에 태어났습니다. 본관은 덕수(德水)이며, 집안은 몰락한 사대부 가문으로 오랜 세월 군자로 자부심을 가진 집안이었습니다.아버지 이정과 어머니 초계 변 씨 밑에서 성장한 이순신은 어린 시절부터 올곧은 인성과 학문, 그리고 무인으로서의 꿈을 함께 키웠습니다.학문과 무예, 공존의 성장기이순신 장군은 글과 무예, 양쪽에 모두 뛰어났습니다. 당대 최고의 명문가 자제가 다니던 서원에서 유학과 병서를 두루 공부했습니다. 청소년기에는 유년시절을 보낸 아버지의 고향 아산(충청남도 아산시)에서 장군의 기상을 키웠죠. 특히 이순신의 무예 실력은 상당히 유명했습니다. 한.. 2025. 5. 1.